[부산과학기술대학교] 간호대학생이 직접 보고 느낀 KIMES 부산 2025
- 관리자
- 조회수 59

AI와 미래 의료를 만나다, KIMES 부산 2025 현장 체험기
9월 27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제13회 부산국제의료기기전시회(KIMES BUSAN 2025)에 다녀왔습니다.
올해 전시회는 300여 개의 기업과 연구기관이 참여해 역대 최대 규모로 진행되고 있는데요, 저는 둘째날 현장을 직접 체험하면서 최신 의료기기의 흐름을 몸소 느낄 수 있었습니다.

(📸 입구 전경 사진 – KIMES BUSAN 2025 현장 입구 모습)

(📸 입구 전경 사진 – KIMES BUSAN 2025 현장 입구 모습)

(📸 내부 전경 사진 – KIMES BUSAN 2025 현장 모습)
최신 의료기기와 스마트 헬스케어
전시장에는 △의료 AI △영상진단기기 △병원설비 △재활·물리치료기기 등 3천여 점이 넘는 첨단 제품들이 전시되어 있었습니다.
그중에서도 제 눈길을 사로잡은 것은 현재 간호학과 외과계 실습으로 많이 보고 있기도 한 고관절 수술에 사용하는 로봇 수술 장비였습니다.

(📸 로봇 수술 장비설명 사진 – 고관절 수술용 로봇 수술 기기)

(📸 로봇 수술 장비사진 – 고관절 수술용 로봇 수술 기기)
직접 체험해보니, 까다로운 외과수술을 로봇을 이용하여, 집도의의 세밀한 움직임을 통해서 정밀하게 집도해주는 기술이라는 점이 인상 깊었습니다.
간호학을 공부하는 학생의 시선에서, 이러한 로봇 기술이 환자의 회복 과정과 수술 안정성에 큰 도움을 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체험 장면 – 로봇 수술 장비를 직접 체험하는 모습)
인스파이어 특별관에서 본 디지털 헬스케어

(📸 세미나 – INSPIRE Digital Health by KIMES 발표 목차)
가장 인상 깊었던 곳은 '인스파이어 특별관(INSPIRE Digital Health by KIMES)'이었습니다.
이곳에서는 △스마트 보행분석 △AI 내시경 검진 △AI 노인 돌봄 솔루션 △정신건강 진단 솔루션 △데이터 기반 환자 상담 등 다양한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이 소개되었습니다.
특히나 이번 세미나의 경우는 저희 RISE 사업 내 10번 과제에 "항노화 헬스케어"라는 항목이 있는데 그 항목에 해당하여 조금 더 주의깊게 살펴보았습니다.

(📸 세미나 장면 – 인스파이어 특별관 세미나 발표 현장)

📸 세미나 장면 – 인스파이어 특별관 세미나 발표 현장)
여기서 제가 주목한 AI를 활용한 내시경 검진 방법은 단순한 기술 시연을 넘어, AI가 협력자·보조자·진단자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었습니다.
여러 AI 모델이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협업하는 과정을 보며, 인간이 놓칠 수 있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겠다는 기대감이 들었습니다.
특히 위내시경 검사에서 발견하지 못하는 작은 병변까지도 더 정밀하게 진단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면서, 환자 안전을 한층 더 보장할 수 있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간호대학생으로서의 소감 ✍️
이번 전시회는 간호학을 전공하는 학생으로서, 이론으로만 접하던 첨단 의료기술을 직접 체험하고 확인할 수 있었던 귀중한 경험이었습니다.
로봇 수술 장비를 다루면서는 환자의 안전과 수술 정확도를 높이는 데 기술이 어떤 방식으로 기여하는지 체감할 수 있었고,
AI 내시경 검진 세미나에서는 인공지능이 단순한 보조를 넘어 의료진의 협력자이자 확장된 진단자로서 기능할 수 있다는 점이 크게 다가왔습니다.
이처럼 기술과 의료가 만나면서, 앞으로 환자 진료의 세밀함과 신뢰성이 한층 높아질 수 있다는 기대를 갖게 되었습니다.
동시에 이번 KIMES 부산 2025 전시가 의료기기 산업을 넘어 지역사회 발전과 의료산업 생태계 확장에도 의미 있는 역할을 한다는 점을 느끼며, 의료의 미래가 더 가까이 다가와 있음을 실감했습니다.

(📸 KIMES BUSAN 입장명찰-부산과학기술대학교 명예기자단 )
태그#2025#부산#벡스코#의료기기#전시회#rise사업#명예기자단#부산과학기술대#BIST#SN#부산광역시_지역사회발전#첨단의료기술#간호학과#부산과학기술대RISE사업단#BEXCO#BEXCO제1전시장
[출처] 간호대학생이 직접 보고 느낀 KIMES 부산 2025|작성자 Evelyn
